정부혜택/국민을 위한 정부혜택

🏠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LH 청년 전세임대주택 제도 총정리!

고소엉 2025. 4. 10. 08:30

요즘같이 전셋값이 부담스러운 시대,
청년들의 주거 고민을 덜어주는 제도가 바로 LH 청년 전세임대주택입니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집주인과 전세 계약을 대신 체결하고,
청년은 저렴한 임대료만 부담하며 거주할 수 있는 정말 실속 있는 주거지원 제도예요.


✅ 누가 신청할 수 있을까?

  •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
  • 대학생, 취업준비생, 청년 근로자
  • 부모와 따로 거주하거나 독립 예정인 단독세대주
  • 소득 및 자산 기준 충족 필요 (도시근로자 평균소득 100% 이하 등)

💰 얼마나 지원받을 수 있을까?

  • 수도권 최대 1억 2,000만 원
  • 광역시 최대 9,500만 원
  • 기타 지역 최대 8,500만 원

전세자금 전액을 LH가 지원해주고,
청년은 전세금의 5% 또는 최소 100만 원 수준의 보증금 +
연 1~2%의 저금리 월임대료만 부담하면 돼요.

💡 예를 들어 전세금 1억 원짜리 집을 구했을 경우,
보증금 500만 원 + 월세 약 10만 원 정도로 거주 가능해요.


📌 핵심만 쏙! 요약 카드

LH 청년 전세임대주택 핵심 요약

🎯 대상: 만 19~39세 무주택 청년
🏠 지원 방식: LH가 전세 계약 → 청년은 저렴한 보증금+월세
💰 지원한도: 수도권 최대 1.2억 원
📅 신청기간: 2025년 12월 31일까지 (수시모집)
🌐 신청처: LH청약플러스 홈페이지
📞 문의: LH 콜센터 1600-1004


🏠 어떤 집에 살 수 있나요?

  • 전용면적 60㎡ 이하의 주택
  • 다세대, 연립, 아파트, 주거용 오피스텔 등
  • 주택 조건은 LH 심사를 통과해야 하며,
    주변 시세 95% 이하의 가격대여야 해요.

📝 신청 방법은?

  • 신청 기간:
    2025년 2월 7일(금) ~ 2025년 12월 31일(수)까지 수시 모집 중!
  • 신청처:
    👉 LH청약플러스 홈페이지
  • 신청 절차:
    신청 → 입주자 선정 → 원하는 집 찾기 → LH와 계약 → 입주

📑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 개인정보동의서
  • 주민등록등본/초본
  • 가족관계증명서
  • 자격 확인서류 (예: 재학증명서, 졸업증명서 등)

📌 모든 서류는 공고일 이후 발급분만 인정되니 주의하세요!


📞 어디에 문의하면 될까?


✅ 다시 한 번 정리하자면!

항목내용
대상 만 19~39세 무주택 청년
보증금 전세금의 5% 수준
월세 지원금의 연 1~2% 수준
지원한도 수도권 최대 1.2억
신청 온라인 신청 (수시모집 중)

전세자금이 부담스러운 청년이라면 꼭 한 번 도전해볼만한 제도!
임대료가 저렴하고, 원하는 집을 고를 수 있어 실속도 만족도도 높은 주거지원이에요.

❗ 경쟁률은 지역에 따라 높을 수 있으니,
LH 홈페이지 공고와 모집 일정을 자주 확인해두는 걸 추천드립니다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