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2025년 재형저축 부활! 세금 아끼는 절세 저축, 어디서 어떻게 가입할까?
고소엉
2025. 4. 17. 08:00
저금리 시대, 이제는 세금까지 아껴가며 저축하는 시대!
2025년, 정부가 장기 저축을 장려하기 위해 재형저축을 부활시켰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자소득세 전액 면제라는 파격적인 혜택까지 제공하는 재형저축,
어떤 조건으로 가입할 수 있고, 어디서 신청하면 좋을지 정리해봤어요!
재형저축이 뭐야?
‘재형저축’은 재산 형성 저축의 줄임말로,
정부가 중·저소득 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장기 저축을 유도하기 위해 도입한 상품입니다.
- 이자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 전액 면제
- 최대 7년까지 가입 유지 시 세제 혜택 유지
- 연간 1,200만 원(월 100만 원)까지 저축 가능
가입 조건은?
구분기준
근로자 | 전년도 총급여 5,000만 원 이하 |
자영업자 | 전년도 종합소득금액 3,800만 원 이하 |
만 19세 이상 대한민국 거주자라면, 위 조건만 충족하면 가입할 수 있어요.
어디서 가입할 수 있어?
재형저축은 은행, 증권사 등 다양한 금융기관에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일부 상품은 모바일 전용으로도 가입이 가능하고, 금리는 금융사별로 차이가 있어요.
금융사상품 예시기본 금리 (예시)특징
SC제일은행 | 재형저축예금 | 연 3.25% (3년 고정) | 모바일 전용, 간편 가입 |
대구은행 | DGB재형저축 | 연 3.15% | 급여이체 등 우대조건 적용 시 금리 상승 |
NH농협은행 | NH재형저축 | 연 3.2% | 창구/모바일 모두 가능 |
메리츠증권 | CMA 재형저축 | 변동형 | 펀드/ETF 연계 가능 |
가입 방법
- 모바일뱅킹 앱 → ‘재형저축’ 검색 후 신청
- 금융기관 창구 방문 시 소득확인증명서 지참
이율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기본금리는 대부분 연 3.0~3.5% 수준이며,
다양한 **우대 조건(급여이체, 카드 실적 등)**을 충족하면
최대 3.8%까지 이율이 올라가는 곳도 있어요.
또한 대부분의 상품은 3년 고정금리 + 이후 변동금리 구조입니다.
장기적으로 볼 때, 안정적인 수익 확보에 유리하죠.
중도해지 시 유의사항
- 7년 이전 해지 시 세금 혜택 취소
- 이자소득세 소급 부과
- 우대금리 적용 불가
즉, 반드시 7년을 채울 수 있는 계획 하에 가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
- 월 30~100만 원 저축 가능하고,
- 중도에 자금을 인출하지 않을 계획이 있으며,
- 이자소득세 면제를 통한 실수익 극대화를 원하는 분
특히 청년, 신혼부부, 소규모 자영업자에게는 절세 효과가 꽤 큽니다.
마무리로,
요즘 같은 고물가 시대에 이율보다 더 중요한 건 '세금 절약'입니다.
재형저축은 안정성 + 세제 혜택 + 실질 수익률 세 박자를 모두 갖춘 저축 상품이에요.
본인의 소득 조건을 확인해보고,
금융기관별 상품을 비교해보신 후 조기 마감 전에 서둘러 가입해보세요!
# #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