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보험

국민연금 보험료율 13% 인상 확정! 언제부터? 왜?

고소엉 2025. 3. 28. 16:59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관심 가지셨던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 소식을 전해드릴게요.
2024년 3월 26일 보건복지부에서 공식 발표한 내용을 바탕으로,
언제부터, 어떻게 바뀌는지, 왜 인상되는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국민연금 보험료율, 13%로 인상 확정

현재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9%**인데요,
정부는 2026년부터 2033년까지 매년 0.5%p씩 단계적으로 인상하여 최종 13%에 도달하는 방안을 확정했습니다.

◆ 변경 일정

  • 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
  • 매년 0.5%p 인상 → 2033년 최종적으로 13% 도달

예를 들어,

  • 2026년: 9.5%
  • 2027년: 10%
  • ...
  • 2033년: 13%


왜 보험료를 올리나요?

가장 큰 이유는 국민연금 재정의 안정성 확보입니다.
현행 구조로는 기금 고갈 시점이 다가오고 있어, 지속 가능한 연금 제도를 위해
가입자 부담을 일부 늘리고, 동시에 수급자의 수령액도 보완하기로 한 거예요.


연금 수령액도 더 늘어나나요?

네!
소득대체율도 함께 조정됩니다.

  • 현행 소득대체율: 약 40%
  • 2026년부터는 43%로 상향 조정되어,
    은퇴 후 받게 되는 연금액도 조금 더 늘어납니다.

누가 얼마나 내게 되나요?

국민연금은 가입자와 사업주가 50:50으로 부담합니다.
즉, 보험료율이 올라가면 가입자와 사업주 모두 부담이 늘어납니다.

예: 월 300만원 소득 기준

  • 현행: 9% → 월 27만원 (본인 13.5만원 + 회사 13.5만원)
  • 2033년: 13% → 월 39만원 (본인 19.5만원 + 회사 19.5만원)

앞으로의 변화에 어떻게 대비할까?

  • 급여 설계 및 인사관리: 기업 인사/급여 실무자라면 매년 보험료율 인상에 따라 인건비 반영 필요
  • 노후 준비 점검: 개인 입장에서는 연금 수령액 증가를 고려한 노후 자산 관리도 중요
  • 4대보험 자동 계산 시스템 반영도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

마무리

이번 국민연금 개편은 단순한 ‘인상’이 아닌,
지속 가능한 연금제도 개편의 일환으로 보면 좋을 것 같아요.
더 많은 보험료를 내게 되지만, 그만큼 미래의 연금 안정성도 높아지는 방향입니다.

앞으로도 정책 변동사항이 있다면 빠르게 정리해드릴게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