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트럼프의 출생 시민권 폐지 시도, 헌법과 충돌하다
    일상 2025. 4. 15. 14:00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시 한번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2025년 1월, 그는 재임 시작과 동시에 행정명령 14160호를 통해 미국 헌법상 보장된 출생 시민권 폐지를 추진했는데요.
    이 행정명령은 곧바로 미국 내는 물론 국제 사회에서도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미국에서 태어나도 시민권이 아닐 수 있다?

    행정명령 14160호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머니가 불법체류자이거나 임시 비자 체류자일 경우
    •아버지가 미국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아닌 경우

    위 조건에 해당되는 가정에서 태어난 아기들은 미국 시민권을 부여받을 수 없도록 한 것인데요.
    이는 헌법 제14차 수정조항에 정면으로 위배된다는 지적이 큽니다.

    “모든 사람은 미국에서 태어났다면 시민이다.”
    – 미국 헌법 제14차 수정조항



    법원은 어떻게 반응했을까?

    이 행정명령이 발표되자마자 미국 22개 주의 법무장관들과
    ACLU(미국시민자유연맹)를 비롯한 시민단체들이 위헌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아요:
    •워싱턴주 연방 법원: “명백히 위헌”이라며 시행 중단
    •메릴랜드, 매사추세츠 등에서도 전국적 금지 명령 발령

    즉, 현재 이 행정명령은 법원 판단으로 효력이 정지된 상태입니다.



    역사적 판례와 배경

    1898년 미국 대법원은 Wong Kim Ark 사건을 통해
    부모의 국적과 관계없이 미국에서 태어난 아이라면 시민권을 부여받는 것이 정당하다고 판결했는데요.

    이 판결은 지금까지 출생 시민권의 헌법적 근거로 작용해왔습니다.
    트럼프의 행정명령은 이 전통적 판례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셈입니다.



    사회적 반응과 국제적 논란

    이 행정명령은 특히 미국 내 이민자 커뮤니티에 큰 충격을 안겼습니다.
    많은 시민단체와 언론은 “이민자를 겨냥한 정치적 계산”이라며
    인종차별적이고, 민주주의 원칙을 훼손한다는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해외 주요 언론들도 이를 강하게 비판하며,
    국제 인권 기준에도 어긋난다는 시각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

    이번 사안은 단순한 행정명령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시민권의 의미란 무엇인가?
    •헌법은 정치적 목적에 따라 쉽게 재해석될 수 있는가?

    트럼프의 출생 시민권 폐지 시도는
    이민 문제와 헌법 해석이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다시 던지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논란의 중심에서, 다시 한 번 ‘헌법적 한계’를 시험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는 미국만의 이슈가 아닌, 전 세계 민주주의 사회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줍니다.

    728x9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