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 4대 보험 휴직 해지 신고 가이드
    4대보험 2025. 3. 6. 13:32

     
    📢 4대 보험 휴직 해지 신고 가이드 – 초보 실무자를 위한 쉬운 설명

    휴직자가 직장에 복귀하면 4대 보험 휴직 해지 신고를 기한 내에 완료해야 합니다.
    신고가 늦어지면 보험료 과소·과납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아래에서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신고 절차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 1. 휴직 해지 신고란?
    휴직자는 4대 보험 가입 상태는 유지되지만, 보험료 납부가 중지됩니다.
    직장 복귀 후 휴직 해지 신고를 해야 보험료가 정상 부과되며, 급여에서 보험료가 정상적으로 공제됩니다.


    ✅ 2. 휴직 해지 신고 기한 (언제까지 신고해야 할까?)
    국민연금·건강보험: 복직일로부터 14일 이내
    고용보험: 복직일이 포함된 다음 달 15일까지
    산재보험: 별도 신고 없음 (건강·고용보험 신고 시 자동 반영)
    📌 예시:

    • 복직일이 3월 1일이라면 → 3월 15일까지 신고
    • 고용보험은 4월 15일까지 신고 가능

    ⚠️ 기한 내 신고하지 않으면?
    ✅ 건강보험·국민연금 미납 발생 → 한꺼번에 납부해야 할 수도 있음
    ✅ 고용보험·산재보험료 정산 오류 발생 가능


    ✅ 3. 4대 보험별 휴직 해지 신고 방법 (한눈에 보기!)
    보험 종류 신고 기한 신고 방법 제출 서류

    국민연금복직일로부터 14일 이내국민연금 EDI /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 공단 방문휴직 해지 신고서
    건강보험복직일로부터 14일 이내건강보험 EDI /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 공단 방문휴직 해지 신고서
    고용보험별도 신고 없음 (변동 사항 있을 경우만 신고)건강·국민연금 신고 시 자동 반영없음
    산재보험별도 신고 없음건강·고용보험 신고 시 자동 반영없음

    ✅ 4. 4대 보험별 신고 절차 (차근차근 따라 하기)
    📌 1) 국민연금 휴직 해지 신고 (14일 이내 신고 필수!)
    📍 신고 방법: 국민연금공단 EDI 또는 방문 신고
    📍 신고 절차:

    1. 국민연금 EDI (https://edi.nps.or.kr) 접속
    2. [사업장 가입자 신고] → [휴직 해지 신고] 선택
    3. 휴직 해지 대상 근로자 정보 입력
    4. 휴직 해지일(복직일) 입력 후 신고 제출
    5. 신고 완료 후 신고내역 확인

    📌 2) 건강보험 휴직 해지 신고 (14일 이내 신고 필수!)
    📍 신고 방법: 건강보험공단 EDI 또는 방문 신고
    📍 신고 절차:

    1. 국민건강보험 EDI (https://edi.nhis.or.kr) 접속
    2. [사업장 가입자 자격 신고] → [휴직 해지 신고] 선택
    3. 휴직 해지 대상 근로자 정보 입력
    4. 휴직 해지일(복직일) 입력 후 신고 제출
    5. 신고 완료 후 신고내역 확인

    참고: 건강보험 휴직 해지 신고가 완료되면 국민연금과 자동 연동됨 (단, 별도로 확인 필요)


    📌 3) 고용보험 휴직 해지 신고 (별도 신고 없음!)
    📍 신고 방법: 별도 신고 없이 건강보험·국민연금 신고 시 자동 반영
    📍 예외적인 경우:

    • 휴직 종료일이 변경되었거나, 고용보험 관련 변동 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https://total.kcomwel.or.kr)에서 근로자 정보 변경 신고 필요

    📌 4) 산재보험 휴직 해지 신고 (별도 신고 없음!)
    📍 신고 방법: 건강보험·고용보험 신고 시 자동 반영되므로 별도 신고 필요 없음


    ✅ 5. 휴직 해지 신고 후 확인해야 할 사항
    ☑️ 4대 보험료 정상 부과 여부 확인 (급여 지급 시 체크)
    ☑️ 직원 본인 부담금 정상 공제 여부 확인
    ☑️ 건강보험·국민연금 연동 확인 (EDI 시스템에서 확인 가능)
    ☑️ 고용보험 피보험자 자격 정상 복구 여부 체크


    ✅ 6. 신고 실수 방지 TIP! (꼭 기억하세요)
    반드시 복직일 기준으로 신고해야 함 (급여 지급일과 헷갈리지 않기)
    고용보험·산재보험은 별도 신고 필요 없음 (건강보험 신고 시 자동 반영)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활용하면 한 번에 신고 가능! (https://www.4insure.or.kr)
    제출 후 ‘신고 완료’ 여부를 다시 확인해야 함! (미완료 시 보험료 누락 발생 가능)


    📌 4대 보험 휴직 해지 신고 요약 정리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보험 종류 신고 기한 신고 방법

    국민연금복직일로부터 14일 이내국민연금 EDI 또는 방문 신고
    건강보험복직일로부터 14일 이내건강보험 EDI 또는 방문 신고
    고용보험별도 신고 없음 (건강보험 신고 시 자동 반영)없음
    산재보험별도 신고 없음 (건강보험 신고 시 자동 반영)없음

    기한 내 신고하여 보험료 누락 방지!
    4대 보험 정보연계센터 활용하면 한 번에 신고 가능!
    신고 후 반드시 정상 반영 여부 확인!
     

    728x9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