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
-
퇴직금 정산 실무, 헷갈리는 날짜 개념 한 번에 정리!급여 2025. 3. 28. 14:36
인사팀 업무를 하다 보면 퇴직금 정산 시 기준일, 중간정산일, 추계액 산출일 같은 용어들이 정말 헷갈릴 때가 많아요. 저도 실무 초보 시절엔 이런 날짜 하나하나가 어렵게 느껴졌는데요, 한 번 정리해두면 다음부터 훨씬 수월해지더라고요.아래 내용을 참고해서 헷갈리는 개념들을 정리해보세요!✅ 퇴직금 관련 핵심 날짜 개념1. 퇴직일 (퇴직금 산정 기준일)퇴직자는 마지막으로 일한 날을 기준으로 퇴직금이 산정됩니다.예를 들어 3월 31일 퇴사라면, 3월 31일이 퇴직일이며, 퇴직금 정산 기준일이 됩니다.2. 평균임금 산정 기간퇴직일을 기준으로 직전 3개월 동안 받은 임금을 기준으로 평균임금을 산정합니다.퇴직일이 3월 31일이라면,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가 평균임금 산정 기간이에요.3. 추계액 산출 기준일퇴직..
-
1년 계약직 근무자의 퇴직금 및 퇴직연금 지급 기준급여 2025. 3. 8. 12:03
회사에는 육아휴직으로 인한 공석에 1년 계약직을 채용했다.딱 1년을 근무하고 퇴사하는 직원의 퇴직금과 퇴직연금, 연차 산정에 대해 찾아보았다. 📌 1. 퇴직금 지급 의무 근로기준법 제34조에 따르면, 1년 이상 계속 근무한 근로자는 퇴직급여(퇴직금 또는 퇴직연금) 지급 대상이 된다. 계약직 근로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퇴직급여 지급 기준은 다음과 같다.계약직 근로자가 1년 이상 근속하면 퇴직금 지급 의무가 발생한다.주당 소정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하며, 15시간 미만 근로자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퇴직금 계산은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하며, 평균임금은 퇴직 전 3개월간의 급여를 바탕으로 산출된다.퇴직금은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되어야 한다. 📌 2. 퇴직연금이 도입된 사업장의 적용 기준..